|
|
|
오피니언 > 전체기사
|
최종편집 : 2025-04-16 오후 05:22:54 |
|
|
|
|
|
출력 :
|
|
|
|
|
[독자기고]고개 숙인 남자
|
중앙일보에 실린 기사가 우리를 슬프게 한다. 요즘 남자들이 처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지적한 글로 대부분 공감되어 마음은 처량해진다. 중년이 되면
토장 기자 : 2013년 01월 17일
|
|
|
|
|
|
[독자기고]찰미루(察眉樓)
|
무장읍성 관아건물 중에 찰미루(察眉樓)라는 누정(樓亭)건물이 있었는데 현종5년(1664)에 현감 김하천이 지금의 객사와 남문사이 높은 지대에
김원식(고창군게이트볼연합회장) 기자 : 2013년 01월 11일
|
|
|
|
|
|
[독자기고]화이부동(和而不同)
|
언제나 새해를 맞이하고 보면, 지나온 날을 반성하고 새로운 각오를 다짐하는 것이 우리의 의식이다. 우리는 불과 십수일전 대선을 전후하여, 오늘
김경식(연정교육문화연구소) 기자 : 2013년 01월 11일
|
|
|
|
|
|
[살며 생각하며]고창인 윤회와 진주를 삼킨 거위
|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읽거나 들었을 전래동화가 있다. 진주를 삼킨 거위를 살린 윤회라는 분의 이야기이다. 윤회가 젊었을 때, 시골에
이병열(고창문화연구회 기자 : 2013년 01월 11일
|
|
|
|
|
|
[살며 생각하며]무장현감 이람(李覽)과 정유재란
|
정유재란 당시 무장현감은 이람이다. 이람은 1550년(명종5, 경술) 한양에서 태어났으며, 자는 경명(景明), 본관은 전주이며, 선조(宣祖)
이병열(고창문화연구회 기자 : 2013년 01월 02일
|
|
|
|
|
|
[세무상식]연말정산 Q&A ①
|
오늘은 직장인의 13월의 월급이라고 할 수 있는 연말정산시 소득공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직장이라면 기본적인 공제에 대하여는
김성수 기자 : 2012년 11월 30일
|
|
|
|
|
|
[독자기고]제50주년 소방의 날에 부쳐
|
1963년부터 시작된 “소방의 날”이 올해로 50주년을 맞는다. 해방과 더불어 수립된 정부에서부터 불조심
윤병헌 기자 : 2012년 11월 16일
|
|
|
|
|
|
[독자기고]유아기(幼兒期)의 전통재롱
|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운데 아기를 건실하게 키울 요량으로 과학적인 근거와 철학이 담긴 육아교육이 있었다. 아이들의 스스로 웃음을 자아내게 하여
이기화 기자 : 2012년 11월 14일
|
|
|
|
|
|
[살며 생각하며]권력의 속성
|
일반적으로 타인을 강제할 수 있는 제도적 힘을 권력이라 한다. 이와 같은 권력이 정략적 이해 내지는 과도한 욕심으로 집행된다면 횡포로 이어짐은
토장 기자 : 2012년 11월 14일
|
|
|
|
|
|
[고창살이]동생이 시집가는 날
|
여동생이 결혼했다. 동생이라 해도 친동생이 아니다. 한국에 시집 온 다음 친동생처럼 친하게 지냈던 한국인 아가씨가 지난달 결혼했다. 현재 그녀
나카무라 기자 : 2012년 11월 14일
|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전북도의회, 송전선로 일방 추진에 제동 걸다 |
내장산, 다시 ‘한국관광 100선’ 중심에 서다 |
정읍 서남권 추모공원, 운영 방식 전면 조정 |
1894명의 발걸음, 정읍이 혁명을 다시 걷다 |
고창 복분자주, 호주 향해 수출 항해 나섰다 |
‘무혈입성’ 무장읍성, 축제로 열리다 |
이현곤 고창문화원장…“군민과 함께, 고창문화의 새 길을” |
이현곤 고창문화원장…“군민과 함께, 고창문화의 새 길을” |
고창군의회, 제315회 임시회 폐회…군정 개선·군민 보호 |
조민규 의장, 차남준 의원 진상조사·징계 요구안 제출 |
“국민 안전 볼모 삼은 범죄, 짝퉁 부품 전면 조사하라” |
“공사 중단·사업 백지화”…정읍시민, 바이오매스 열병합발 |
“송전선로 강행 중단, 절차부터 바로잡아야” 주민들 한전 |
고창 송전탑 건설 저지, 대책위 출범으로 대응 결집 |
고창 하전, 바지락으로 빚은 5월의 오감 축제 성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