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간해피데이 | |
|
|
정읍시가 대통령 지역공약을 국가계획에 반영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8월18일 시청 2층 소회의실에서 지역공약 이행 태스크포스(TF) 제4차 회의를 열고 국정과제 반영 성과를 점검했으며, 주요 사업들의 정부 부처 국가계획 반영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정읍시는 이미 6월30일 티에프(TF)를 구성해 지역공약의 구체화와 실행 기반을 마련한 바 있으며, 이번 회의에서는 구체적 대응 방향을 한층 강화했다.
정읍시는 이날 회의에서 지역공약으로 제시된 5대 핵심 과제의 추진 실적을 점검했다. 과제는 ▲첨단의료복합 산업단지 조성 ▲동진강 회복 프로젝트 ▲내장저수지 주변 사계절 체류형 관광벨트 조성 ▲공공기관 이전부지 개발을 통한 도심재생 활성화 지원 ▲우주방사선 신소재 테스트베드 및 국가바이오지원 평가·실증지원센터 구축이다. 이어 지난 8월13일 정부가 발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 및 국정과제 반영 사항도 공유하며 실질적 연계 방안을 검토했다.
정읍시는 앞으로 새 정부가 확정한 123대 국정과제를 구체화하는 564개 실천과제와 지역공약을 연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정읍의 주요 현안 사업이 정부 부처의 국가계획에 포함돼 세부 이행 과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티에프 운영 목표였던 ‘지역공약의 국정과제 반영’이 가시화된 만큼, 각 부서별 전담 체계로 전환해 단위사업별 세부 실행계획을 조속히 마련할 예정이다.
정읍시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부처별 협의 대응력을 강화해 국가사업화 과정을 주도한다는 구상이다. 유호연 부시장은 “지역공약은 균형성장특별위원회에서 별도 검토를 이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는 관련 부처와 긴밀히 협의하며 국가사업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 공약으로 약속된 사업을 정읍의 도시 발전 동력으로 전환하기 위해 행정력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는 지역 경쟁력 확보와 직결된다. 그러나 국가계획 반영은 중앙정부 부처의 심의와 예산 배정 과정에 달려 있어 성과가 확정되기까지는 지속적 협의와 설득이 필요하다. 지역 현안이 중앙의 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리지 않도록 정읍시가 얼마나 주도적으로 대응하느냐가 향후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