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한국의 갯벌’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갯벌 세계자연유산 보전본부’(이하 갯벌보전본부) 공모를 8월 내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수산부는 신청서 서면평가와 사업계획 발표회 및 현장평가를 거쳐, 오는 11월 중 ‘갯벌 세계자연유산 보전본부’ 대상지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당초 7월22일부터 한달여간 공모를 진행할 계획이었지만, 전남도가 반발하면서 공모가 다소 늦어진 것으로 보인다. 전남도의회는 7월말 “해양수산부가 공모제를 실시해 지자체간 경쟁을 부추기고, 일선 지자체의 협업과 참여 의지를 떨어뜨리고 있다”며 아예 공모계획 자체를 철회하라는 건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지난해 7월 전북 고창과 전남 신안과 보성-순천, 충남 서천 등 4곳의 서남해 갯벌이 ‘한국의 갯벌’이란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지정됐다. 해양수산부는 320억원을 들여 세계자연유산 갯벌을 관리할 보전본부를 세울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7월11일 광역 및 기초 지자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갯벌 세계자연유산 보전본부 건립 공모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를 통해 대상지역과 부지제공 그리고 지원자금 등의 신청 자격에 대한 설명과 건립계획, 입지 타당성 등의 심사기준 그리고 금후 계획 등의 공모 주요내용을 밝혔다.
이 공모내용들이 알려지자, 전남도는 강한 여론전을 펴기 시작했다. 물론 공통적으로 본부 운영비의 20퍼센트를 지자체 몫으로 규정한 것은 모든 지자체의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전남도는 “해수부가 광역지자체별로 1곳만 신청하도록 제한한 것”을 상대적으로 불리하다고 봤다. 전남도는 신안 갯벌과 보성·순천 갯벌이 포함됐는데, 1곳만 신청하라는 것은 불공정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남의 경우 1개의 지자체가 3개의 지자체를 대표하는 것이므로, 공모하지 못하는 기초지자체 입장에서는 불공정하겠지만, 전남도 입장에서는 대표성 면에서 결코 불리한 것이 아니다.
다만, 국민의힘이 정권을 잡은 상황에서 충남 서천이 유리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초 평가기준을 보면 지역갯벌방문자센터 등 국가시설과의 연계 가능성에 5점을 배정했는데, 국립생태원방문자센터 등이 들어선 충남에 유리하게 평가항목이 짜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전남도는 신안군을 후보지로 내세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보전본부는 전북 고창과 전남 신안, 충남 서천 중 한 곳에 설립하게 됐다.
고창군은 충남과 전남 사이의 서해안 갯벌 중간지점에 위치해 지리적 여건이 최대 강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고창군은 보전본부 건립을 위해 심원면 염전부지(만돌리쪽 폐염전)에 부지를 확보한 상태이다.
서천군은 전라도와 비교해 수도권과 가까운 점을 내세우면서, 충남도는 ‘서천 갯벌 도립공원’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일단 ‘갯벌보전본부’를 유치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갯벌보전본부’는 서남해안 갯벌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싱크탱크이자 통제소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특히, 유산의 모든 이해당사자인 민·관·학의 주체들이 상호 소통을 통한 실질적인 보호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그 핵심으로, ‘한국의 갯벌’의 관리와 운용은 갯벌보전본부 중심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신안군은 면적이 가장 넓다. ‘한국의 갯벌’ 중 신안 갯벌은 86퍼센트를 차지하면, 전남으로 치면 9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전남도가 ‘세계자연유산 등재 추진단’을 구성하고, 세계자연유산 지정을 위해 기여한 점도 빠뜨릴 순 없다.
|